드라마 탁류 정보·줄거리·출연진·등장인물·인물관계도·OTT 알아보기·1화 요약
2025년 가을, 디즈니플러스 첫 오리지널 사극 시리즈 **〈탁류〉(영문: The Murky Stream)**가 공개됐습니다. 조선의 돈과 물자가 모이는 경강(한강 물류 거점)과 마포 포구를 배경으로, 혼탁해진 질서를 뒤집고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세 인물의 운명을 그리는 액션 사극이죠.
연출은 추창민(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각본은 천성일(드라마 〈추노〉)이 맡았고, 로운–신예은–박서함이 주연으로 나섭니다. 작품은 9월 26일(금) 1~3화 동시 공개로 시작해 매주 2화씩 업데이트되며 총 9부작으로 편성됐습니다.
1) 한눈에 보는 〈탁류〉 핵심 정보
탁류 | 디즈니+
과거를 감추고 왈패가 된 시율과 이치에 밝은 최은, 청렴한 관리를 꿈꾸는 정천. 세 사람의 운명적 이야기.
www.disneyplus.com
- 장르: 사극 · 액션(드라마/어드벤처 요소)
- 공개일/편성: 2025년 9월 26일 1–3화 공개 → 이후 매주 2화 업데이트, 총 9부작
- OTT: 디즈니+ 단독 공개(한국), 미국 등은 Hulu 동시 서비스(Hulu 공식 작품 페이지 확인)
- 연출/극본: 추창민 감독·천성일 작가
- 주요 출연: 로운, 신예은, 박서함, 박지환, 최귀화, 전배수, 김동원
- 등급: 15+(디즈니+ 페이지 기준)
- 페스티벌: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온 스크린’ 공식 초청(프리미어)
2) 세계관·배경 & 기본 줄거리
- 무대: 조선 후기, 경강–마포 나루. “푸르던 경강이 탁류로 변해버린 무법천지의 조선.” 상단(商團)과 관리, 왈패(깡패)·부패 세력이 얽힌 권력·이권의 소용돌이가 전개됩니다.
- 핵심 테마: 혼탁한 세상에서 ‘사람답게’ 살고 싶었던 이들의 운명 개척 액션—힘의 논리, 부패, 착취에 맞서는 선악·생존·연대의 균열.
세 주인공의 축
- 장시율(로운) — 과거를 감추고 왈패가 된 인물. 먹고살기 위해 주먹을 쥐었지만, 부조리에 맞서는 본능이 살아 있습니다.
- 최은(신예은) — 조선 최고의 장사꾼/상단 리더를 꿈꾸는 능력형 상인. 시장을 읽는 촉과 배짱이 탁월합니다.
- 정천(박서함) — 청렴한 관리를 지향하는 이상가. 포도청의 부패 사슬과 충돌하는 원칙주의자.
3) 출연진·등장인물 캐릭터 가이드
주연 3인
- 장시율 — 로운
마포 포구에서 하루 품팔이로 버티는 청년. 과거를 감춘 채 왈패 무리에 섞여 살지만, 힘 세상이 강요하는 불의에 직면할 때마다 참지 않는 성정. 초반부터 강렬한 액션·거친 페르소나로 이미지 변신을 보여줍니다.
- 최은 — 신예은
경강 상단의 핵심 인재. 흥정, 물류, 자금흐름에 밝고 ‘판’을 읽는 눈이 있습니다. 시율과의 우연한 충돌을 계기로 서로의 세계를 인지하고, 연대/경쟁의 복합적 관계를 형성.
- 정천 — 박서함
원칙과 청렴을 신념으로 삼는 관료. 포도청과 관아에 만연한 부패 고리를 끊고자 하며, 무덕 일당과도 마찰을 빚습니다.
주요 조연
- 무덕 — 박지환
마포 나루의 질서를 ‘힘’으로 잡는 왈패 보스. 항·포구 일대를 실질 지배하며 착취·통행세로 노동자들을 옥죄고, 관료–중간깡패–상인의 부패 고리를 연결합니다.
- 이돌개 — 최귀화 / 전채수 — 전배수 / 강행수 — 김동원 등
포구의 부패 관리·중간업자·벌크 상인 등의 얼굴들로, 현금·곡물·노동이 얽힌 이권 사슬을 구성합니다.
4) 인물관계도
- 장시율(로운) ↔ 정천(박서함): 법 vs 현실의 간극을 두고 긴장–협력. 시율의 정의감이 정천의 원칙과 맞물리며 동행의 실마리가 생깁니다.
↔ 무덕(박지환): 포구 지대의 패권을 둘러싼 정면 충돌. 노동 착취 구조와 대치.
↔ 최은(신예은): 우연한 충돌 → 이해/오해 → 전략적 공조(물류/자금/인력)로 확장. - 최은 ↔ 강행수(김동원)·이권 네트워크: 상단–행상–어물상–세곡라인 등 물류 사슬의 중심에서 상업적 동맹/대립을 오갑니다.
5) 1화 요약
- 오프닝: 마포 포구의 일상—세곡·염장(소금)·어물이 오가고, 왈패들의 ‘통행세·품삯 갈취’가 일상화된 현장이 펼쳐집니다. 무덕이 실세로 군림하고, 관아–중간깡패–상인의 삼각 착취구조가 그려집니다.
- 시율의 선택: 품삯을 떼먹는 부역에 맞서 “일을 시켰으면 품삯을 주셔야지요”라 일갈하며 첫 충돌을 일으키는 장시율. 이 사건은 무덕 라인의 눈밖에 나게 되는 시발점이 됩니다.
- 최은과의 ‘운명적’ 첫 만남: 널다리 위 실랑이로 시작된 시율×최은의 시선 교환–오해–긴장. 상단 인재 최은은 시장의 판을 읽는 냉철함으로 시율을 관찰합니다.
- 정천의 그림자: 포도청의 부패 사슬을 끊으려는 정천의 움직임이 예고되며, 마포–경강 일대의 권력 지형 변화가 본격화됩니다.
6) 관전 포인트 7
- 장르적 쾌감: 왈패의 주먹–상인의 거래–관리의 법이 맞부딪히는 삼자 구도의 액션/정치극 결합.
- 연출·필력 조합: 추창민×천성일—영화적 스케일과 리듬감 있는 대사/서사 구조의 시너지.
- 배우 변신: 로운의 러프한 액션–감정 결 전환, 신예은의 능수능란한 상인 캐릭터, 박서함의 원칙주의 관료.
- 로케이션·미술: 포구–창고–시장 중심의 살아있는 생활감, 소품(자루/노꾼/도리깨)로 구현된 현장 질감. (스틸·예고 참고)
- BIFF 온 스크린 초청작: 1–2화 프리미어로 초반 완성도 검증.
- 국제 동시 서비스: 디즈니+·Hulu 동시 공개로 글로벌 실시간 반응 확인 가능.
- 연대의 서사: 각기 다른 ‘정의의 언어’(힘·돈·법)를 가진 이들이 공동의 적/목표 앞에서 어떻게 손을 잡는가.
7) OTT 시청 가이드 (디즈니+·Hulu)
- 한국: 디즈니+에서 스트리밍(15+ 표기). 1–3화 동시 공개 후 매주 2화, 총 9화.
- 미국 등: Hulu에서 동시 서비스(작품 페이지 오픈·에피소드 론칭). 첫 주 3화 공개 후 주간 2화 업데이트.
8) 제작진·제작사 & 페스티벌
- 연출: 추창민 / 각본: 천성일 — “디즈니+ 첫 오리지널 사극”의 간판 조합.
- 제작: 앤피오 엔터테인먼트(NPIO) 등. BIFF 크레딧에 프로듀서 표종록, 공동프로듀서 강민규 명시.
- 음악: 신현식, 정송희(음악감독)
- 페스티벌: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온 스크린’ 초청, 야외 무대 인사·GV 등 행사 진행.
9) 자주 묻는 질문(FAQ)
Q. ‘채만식 〈탁류〉’랑 관련 있나요?
A. 아닙니다. 시대·인물·배경이 완전히 달라 동명의 오리지널 사극 시리즈입니다(소설은 1930년대 군산 세태소설).
Q. 몇 부작이고 언제 올라오나요?
A. 총 9부작. 9/26에 1~3화, 이후 매주 2화씩 업데이트됩니다.
Q. 어디에서 볼 수 있죠?
A. 한국은 디즈니+, 미국 등은 Hulu에서 감상 가능합니다(해외 거주자는 지역 편성 확인).
Q. 누가 만드나요?
A. 추창민 감독×천성일 작가가 의기투합했습니다.
10) 시청 전 체크리스트
- 〈추노〉, 〈광해〉 같은 정통 사극·액션의 장르적 쾌감을 찾을 때
- 경강–마포 포구의 생활감과 시장/물류 디테일이 살아있는 배경을 좋아할 때
- 힘(왈패)–돈(상단)–법(관아) 삼자 대결의 정치극/사회극 결을 선호할 때
- 주연 3인(로운×신예은×박서함)의 관계 성장 드라마가 궁금할 때
마무리
〈탁류〉의 재미는 ‘힘·돈·법’이 한 포구에서 충돌하는 순간에 있습니다. 장시율–최은–정천이 각자의 방식으로 혼탁한 흐름을 거슬러 오르는 과정은, 액션의 타격감은 물론 사회극의 씁쓸한 현실감까지 동반합니다. 9부작 완결 체제라 호흡이 빠르고 응집력 있는 전개를 기대해도 좋죠. 금요일 밤, 경강의 어둑한 물결 위로 떠오를 다음 장면을 기다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