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올해 부산국제영화제는 제30회를 맞아 규모와 프로그램이 더 커졌습니다. 영화제는 9월 17일(수)~9월 26일(금) 열리며, 개·폐막을 포함한 주요 이벤트와 일반 상영의 예매 개시 시각이 다릅니다. 예매 타이밍은 짧고, 좌석은 한정적이죠.
아래 타임라인·유형별 예매법·환불 규정·현장 구매까지 전부 정리했으니, 그대로 따라만 하셔도 실수 없이 표를 잡을 수 있어요.
1) 한눈에 보는 ‘예매 타임라인’
① 상영 시간표 공개
- 8월 29일(금) 18:00 상영 시간표 공개 (작품·회차 확인 시작).
② 예매 개시
- 개·폐막식 및 일부 프로그램
9월 5일(금) 14:00
대상: 개막식/폐막식, 오픈 시네마(야외), 미드나잇 패션(심야), 액터스 하우스, 커뮤니티비프 등. - 일반 상영작
9월 9일(화) 14:00부터.
③ 영화제 기간
- 9월 17일(수) ~ 9월 26일(금)
체크: 영화제 공식 일정 자체는 9/17–9/26입니다(부산시·BIFF 공식 페이지 표기 동일). 예매는 그보다 앞선 9/5와 9/9에 나눠 열립니다.
2) 어디서, 어떻게 예매하나—채널·좌석·결제
- 예매 채널: BIFF 공식 홈페이지(전용 예매 페이지) 온라인 100% 진행이 원칙. 온라인에서 매진되지 않은 작품이나 취소표가 발생하면 영화제 기간 중 BIFF 매표소에서 현장 구매 가능.
- 좌석·매수: 온라인 예매는 1회 최대 2매. 모바일티켓을 매표소에 제시하면 종이 티켓으로 발권 가능.
- 예매 절차(요약): 로그인 → 날짜·작품 선택 → 좌석 선택(최대 2매) → 가격 선택(일반/할인) → 결제(신용카드·간편결제·모바일예매권) → 완료.
팁: 할인(본인)으로 구매하면 모바일티켓 사용이 제한되고 현장 발권만 가능할 수 있어요(증빙 필요). 결제수단을 두 가지 이상 준비해두면 실패율이 확 줄어듭니다.
3) 유형별 예매 전략—무엇을 언제 노릴까
A. 개·폐막식/오픈시네마/미드나잇/액터스하우스/커뮤니티비프
- 9/5(금) 14:00 ‘첫 오픈’의 주인공. 수요가 매우 높습니다.
- 전략: PC(유선)+모바일(데이터) 이중 대기열, 좌석·구역 우선순위표(1→2→3안) 작성 → 결제 실패 시 즉시 다른 결제수단으로 전환.
B. 일반 상영
- 9/9(화) 14:00 오픈. 첫 10~20분에 인기작이 빠르게 매진되지만, 취소표 재유입이 잦습니다.
- 전략: 최초 도전 + 당일 밤/다음날 오전 재검색 루틴. 온라인 매진이 아니거나 취소표가 생기면 현장 구매도 가능.
4) 현장 구매(디지털 취약계층)·유의사항
- 대상: 만 65세 이상(1960년생 이상) 및 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
- 기간/장소: 9/17(수)~9/26(금) 영화의전당 야외 사거리 BIFF 매표소.
- 판매 범위: 당일 상영작 및 익일 1·2회차 상영작만 구매 가능.
- 예외: 개·폐막식 티켓은 현장 창구 판매 제외.
- 유의: 좌석 수 한정, 9/17(수) 개막일에는 다음 날 1·2회차만 판매.
정리: 온라인 예매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운영되는 보완 창구입니다. 일반 관객의 현장 구매는 온라인 잔여/취소분이 있을 때에 한해 가능하니, 우선은 온라인 예매가 기본입니다.
5) 취소·환불 규정 (꼭 읽어두기)
- 마감 시각: 상영 30분 전까지 취소/환불 가능.
- 수수료:
- 개막 전(9/16(화)까지): 수수료 없음
- 영화제 기간(9/17(수)~9/26(금)): 1장당 1,000원
- 예외: 영화제 측 사정으로 상영 일정 변경/취소 시에는 수수료 없이 행사기간 내 취소/환불 가능.
- 창구: 온라인/BIFF 매표소 모두 취소·환불 가능.
6) 초보자도 실패 없는 ‘예매 준비 체크리스트’
- BIFF 계정 만들기(휴대폰 인증·비밀번호 확인).
- 결제수단 2개 이상(카드+간편결제) 준비.
- 오픈 전날 브라우저 자동완성·로그인 상태 점검.
- PC(유선)+모바일(데이터) 동시 대기 전략.
- 좌석/구역 우선순위표(1→2→3안) 미리 작성.
- 오픈 10·3·1분 전 알림 설정.
- 결제 실패 시 다른 수단 즉시 전환.
- 예매 완료 캡처/메일 확인(스팸함 포함).
- 취소표 타이밍: 오픈 당일 밤·다음날 오전 재검색.
- 현장 구매는 온라인 잔여/취소분이 전제.
- 상영 30분 전까지만 취소/환불 가능—캘린더에 회차별 리마인더.
- 모바일티켓을 종이로 바꾸려면 매표소 발권 가능.
- 할인권종은 현장 증빙·발권 요건 확인.
- 동행자와 동시간대 후보 2–3작 합의(경합 대비).
- 지연 관람 방지 위해 회차 간 이동시간 확보.
- 인기작은 오픈시네마/미드나잇도 함께 고려.
- 일정 변경 공지에 대비해 BIFF 콜센터(1666-9177) 저장.
- 현장 방문 시 매표소·상영관 지도 미리 확인.
7) 30회를 위한 ‘컨텍스트’: 더 넓어진 프로그램·상영관
올해 공식 상영작은 241편으로, 전년 대비 17편 증가했습니다. 커뮤니티비프까지 합하면 총 328편 규모. 상영관도 CGV 센텀시티 IMAX(국내 두 번째로 큰 화면), 동서대학교 소향시어터 신한카드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등 인근 상영처를 추가 배치해 관람 편의를 높였습니다.
즉, 인기 회차의 좌석 경쟁은 여전하지만 선택지는 더 많아졌고, 섹션별/관별 우회로를 준비하면 성공 확률이 올라갑니다. (예: 동일 작품의 다른 회차·상영관, 심야 전용 ‘미드나잇 패션’ 등.)
8) 예매 유형별 빠른 Q&A
Q1. 개·폐막식이 제일 먼저 열리나요?
A. 네. 9/5(금) 14:00에 개·폐막식과 오픈시네마·미드나잇·액터스하우스·커뮤니티비프가 함께 열립니다. 이후 9/9(화) 14:00에 일반 상영이 오픈합니다.
Q2. 예매는 앱이 아니라 웹으로만 하나요?
A. BIFF 공식 홈페이지(전용 예매 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합니다. (모바일 웹 접속 가능) 온라인 매진이 아니거나 취소표가 있으면 영화제 기간 중 매표소에서 현장 구매할 수 있습니다.
Q3. 1회에 몇 장까지 살 수 있죠?
A. 1회 2매 제한입니다.
Q4. 취소·환불은 언제까지? 수수료는?
A. 상영 30분 전까지 가능하며, 개막 전(9/16)에는 수수료 없음, 영화제 기간에는 장당 1,000원입니다.
Q5. 부모님이 온라인이 어려워하시는데, 현장 창구가 있나요?
A. 네. 만 65세 이상·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에 한해 9/17~9/26 BIFF 매표소에서 당일/익일(1·2회차) 티켓을 판매합니다(개·폐막식 제외, 좌석 한정).
Q6. 영화제는 정확히 언제 하나요?
A. 9/17(수)~9/26(금)입니다.
9) 실전 예매 시나리오(케이스별)
케이스 A | 개막식 현장 참가가 목표
- 9/5 13:55 대기열 입장(PC·모바일 동시) → 14:00 좌석 선택 → 결제 불발 시 즉시 간편결제로 전환 → 완료 캡처.
- 실패 시: 오픈시네마·미드나잇·액터스하우스 대안작 우선순위대로 재도전.
케이스 B | 화제작 위주 ‘빡공’ 관람
- 8/29 시간표 뜨면 관심작 리스트업(동일작 다회차·다관 포함).
- 9/9 14:00 첫 도전 후 당일 밤/익일 오전 재검색 루프—취소표 줍줍.
- 영화제 기간에는 현장 취소분도 체크.
케이스 C | 부모님/지인 대신 예매가 어려운 경우
- 디지털 취약계층 현장 창구(65+·장애인) 이용—당일/익일 1·2회차만 가능, 개·폐막식 제외. 신분 확인서류 준비.
마무리
“두 번의 문—9/5와 9/9, 그리고 8/29”
올해 BIFF 예매는 두 번 열린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첫 문은 9/5 14:00(개·폐막식·오픈시네마·미드나잇·액터스하우스·커뮤니티비프), 두 번째 문은 9/9 14:00(일반 상영). 그리고 이 모든 준비의 출발점은 8/29 18:00 상영 시간표 공개예요. 1회 2매·온라인 100%(현장 판매는 잔여/취소분 한정), 상영 30분 전까지 취소 가능·기간 중 수수료 1,000원 등 규정만 숙지하면, 표를 잡는 일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올가을, 9/17–9/26 영화의 바다에서 만나죠. 좋은 자리에서, 좋은 영화로요.